연금 상품 해지 시 세금 부담 총정리 | 기타소득세 · 해지가산세 적용 기준 2025
연금 상품을 중도 해지할 경우 기타소득세 또는 해지가산세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세액공제 혜택을 받고 가입한 상품이라면 특히 해지 시점과 사유에 따라 세금 부담이 크기 때문에, 미리 기준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연금저축, IRP(개인형 퇴직연금), 연금보험 해지 시의 세금 부과 조건과 기타소득세율, 해지가산세 계산법을 정리합니다.
연금 해지 시 발생 가능한 세금 항목
- 기타소득세 (일반 연금저축·연금보험 해지 시)
- 해지가산세 (세액공제 받은 연금저축·IRP 중도 해지 시)
- 2년 미만 유지 시 환급금 손해 발생
- 소득공제 환수세액 별도 부과 가능
아래 버튼으로 세금 기준 확인
상품 유형 | 세금 종류 | 세율 | 해지 기준 |
---|---|---|---|
연금저축 | 기타소득세 + 해지가산세 | 16.5% (기타소득세 15% + 주민세 1.5%) | 5년 미만·55세 전 해지 시 |
IRP | 해지가산세 | 세액공제액의 13.2% | 연금 외 수령 시 |
연금보험 | 기타소득세 | 16.5% | 10년 미만 유지 시 |
즉시연금 | 비과세 또는 이자소득세 | 조건부 | 납입기간·연금개시 연령 기준 |
연금저축이나 IRP를 해지하면 세액공제받은 금액을 환수당하는 불이익이 생길 수 있습니다.
또한, 해지가산세는 기타소득세와 별도로 추가되는 세금이므로, 중도 해지는 신중하게 고려해야 합니다.
※ 주의사항: 연금 상품 해지 전에는 반드시 세금 적용 여부를 확인하고, 연금 개시 이전 해지 시엔 국세청의 기타소득세 신고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