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금 수령액 세금 계산 방법 | 연금소득세율·공제항목 정리
2025년 연금 수령액에 부과되는 세금 계산 방법을 완벽 정리했습니다. 최신 연금소득세율과 공제항목을 한눈에 파악하고, 국민연금·퇴직연금 적용 예시까지 확인하세요.
연금소득 세액공제, 연금소득공제 방식과 건강보험료, 보장성보험료 공제 기준을 소개합니다. 단계별 계산법으로 번거로운 세금 신고를 손쉽게 준비해보세요.
세율표와 공제 유형별 계산식, 주의사항까지 담아 스마트한 연금 수령금 관리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연금소득세는 매년 5월 종합소득세 신고 기간에 신고 및 납부하며, 연금 총 수령액에서 공제항목을 차감한 금액이 과세표준이 됩니다. 과세표준에 세율을 적용해 연금소득세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아래 버튼을 통해 세율·공제 확인
연금액 구간 | 연금소득공제 금액 |
---|---|
1,200만 원 이하 | 연금액의 40% |
1,200만 초과 ~ 4,600만 | 480만 + (연금액-1,200만)의 15% |
4,600만 초과 ~ 9,000만 | 1,020만 + (연금액-4,600만)의 5% |
9,000만 원 초과 | 1,320만 원 |
- 기본공제: 연금소득금액 200만 원 이상 시 100만 원 공제
- 추가공제: 장애인·경로우대자 100만 원 추가 공제
- 보험료공제: 국민연금·연금저축 납입액 전액 공제
위 과정을 통해 산출된 과세표준에 다음 연금소득세율을 적용합니다.
과세표준 구간 | 세율 | 누진공제 |
---|---|---|
1,200만 원 이하 | 6% | 0 |
1,200만 초과 ~ 4,600만 | 15% | 108만 원 |
4,600만 초과 ~ 8,800만 | 24% | 522만 원 |
8,800만 원 초과 | 35% | 1,490만 원 |
실제 세금 계산 시 주민세 10%가 별도 부과되므로, 최종 납부세액 = (산출세액 + 주민세)로 계산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