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금저축펀드 세액공제 한도 600만원 상향
2025년부터 연금저축펀드 세액공제 한도가 600만원으로 확대돼 누구나 400만원→600만원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IRP를 합치면 최대 900만원까지 공제되며, 총급여 5,500만원 이하라면 16.5 % 세액공제율이 적용돼 148만원 환급 가능! 고소득자·금융소득 종합과세 대상자는 300만원 한도 등 예외 조건도 함께 살펴보세요.:contentReference[oaicite:0]{index=0}
세액공제는 소득공제와 달리 세금을 직접 깎아주기 때문에 공제 한도를 꽉 채우면 연금저축 수익률이 크게 올라갑니다. 2022년까지는 400만원(50세 이상 600만원) 한도였으나, 2023년 세법 개정으로 전 연령 동일하게 600만원으로 상향됐습니다.:contentReference[oaicite:1]{index=1} 지금부터 400만원과 600만원이 적용되는 조건, 종합소득공제 차이를 정리합니다.
- 기본 한도 600만원 : 2023년 1월 1일 이후 납입분부터 연령·소득 구분 없이 적용
- 400만원 한도 : 2022년 이전 납입액 계산 시, 또는 개정 전 약관 참고 시 사용
- IRP 병행 시 추가 300만원 → 총 900만원 세액공제
- 총급여 5,500만원(종합소득 4,500만원) 이하: 세액공제율 16.5 % / 초과 시 13.2 %
- 금융소득 2,000만원↑·총급여 1억2천만원↑ : 연금저축 300만원 한도 유지
아래 버튼으로 절세 계산하기
구분 | 연금저축 한도 | IRP 포함 합산 | 세액공제율* |
---|---|---|---|
일반 근로자 | 600만원 | 900만원 | 13.2 % |
총급여 5,500만원↓ | 600만원 | 900만원 | 16.5 % |
금융소득 2,000만원↑ | 300만원 | 700만원 | 13.2 % |
*지방소득세 포함.
2025년 기준 한도 600만원을 모두 납입하고 공제율 16.5 %를 적용받으면 최대 99만원이, IRP 300만원을 더 채워 900만원을 납입하면 최대 148만5천원이 환급됩니다.:contentReference[oaicite:2]{index=2}
주의사항 : 세액공제 받은 금액은 5년 이내 중도해지 시 추징세가 부과되며, 연금 개시 전에는 16.5 % 기타소득세가 적용되니 최소 5년·만 55세 이후 수령 요건을 지켜야 합니다.